지난 시간에는 행위로 코드를 설계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기 클릭) 이번 시간에는 단순 행위 설계에서 더 나아가 SOILD 에 대해 다시 알아보고, Interface를 활용해서 어떻게 객체지향스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에도 최대한 공식 영어 명칭에 대해서 분석하고 보려고 한다. 흐름은 실용주의 프로그래밍 책을 따라갈 것이다. 1. SOLID 분석아오.... solid 정말 많이 들어봤다. 그런데 사실 직접 뜻에 대해서 분석은 안햇던 것 같다. 단순히 암기를 한거지? 으으음...!!! 그래서 필자는 현재 다시 이를 훑어보려고 한다.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단일 책임의 원칙은 하나의 모듈이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의 액터에 책임이 있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