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language 72

[Java] 람다 표현식(Lambda Expreesion) - 2탄

지난 람다 표현식 1탄에 이어서 이번에는 뒤의 글을 더 읽어보도록 하겠다. 2. 람다 표현식의 이상적인 사용 케이스(Ideal Use Case For Lambda Expressions) 8부터~접근 8: 더 확장해서 Generic을 사용하기이전 코드에서 보았던 processCarsWithFunction 을 다시 보자. 다음은 어떤 데이터 타입의 요소라도 포함하는 컬렉션을 매개변수로 받는 제네릭 버전이다. public static void processElements( Iterable source, Predicate tester, Function mapper, Consumer block) { for (X p : source) { if (..

[Java] 스트림(Stream)이란? - 1탄

공식문서 읽기 본부의 수장이 되고자 하는 우리의 공대키메라! 이번 시간에는 스트림에 대한 공식 문서를 읽어보고 정리할 것이다. 그럼 후비고~ 1. Stream이란? A sequence of elements supporting sequential and parallel aggregate operations.순차적 및 병렬 집계 작업을 지원하는 요소들의 시퀀스 그러니까, 순차적 및 병렬 집계 작업을 지원하는 요소 시퀀스라는데... 와닿지가 않는다. 위에 사전에서 봤듯이 일반적인 의미는 뭔가 흐름을 의미한다. 컴퓨터 사이언스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In computer science, a stream is a sequence of potentially unlimited data elements mad..

[Java] 익명 클래스(Anonymous Class)

지난번 Local Class(로컬 클래스) 에 이어서... 드디어...! 익명 클래스와 람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원래는 단순하게 익명 클래스에 대해서만 알아보려고했는데, 람다가 자주 비교대상으로 쓰이기에 람다를 추가해서 보려니 관련 정보(inner class, local class, enclosing class 등...)에 관한 지식이 튀어나와서 이를 먼저 알아보았다 휴... 이번에도 역시 공식문서를 중심으로 읽어나갈 계획이다. 1. 익명클래스 (Anonymous Class)익명 클래스는 우리 코드를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클래스를 선언하고 인스턴스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치 이름이 없는 지역 클래스(local class) 같다. 만약 로컬클래스를 한 번만 사용할거면 익명..

[Java] : Local Class알아보기

지난 글에서 Nested Class와 Inner Class가 뭔지 공식문서를 읽어 보았는데, 이어서 Local Class, Anonymous Class 그리고 Lambda 에 대해 읽을 예정이다. 0. Enclosing Class?Enclosing Class는 바디 안에 다른 클래스를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Outer class도 있자나? 이전에 Inner class에 대해 공부할 때 Inner class의 외부 클래스를 Outer class라고 부를 수 있는데 enclosing class와 outer class가 뭐가 다른지 이번에는 GPT의 힘을 빌려보았다. 키메라 : 두 개는 비슷한데 뭐가 다른거야?MyClass.javapublic class MyClass { void ..

[Java] : Nested Class 와 Inner class

오늘도 고군분투하는 우리의 키메라! 캬오! 원래는 람다에 대해서만 알아보려고 했는데, 공부하다보니 먼저 Nested Class와 Inner Class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다 이해하고 외워버려!1. 중첩 클래스(Nested class)우선 inner class를 알기 위해서는 Nested Class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는 다른 클래스 안에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클래스는 중첩 클래스(nested class)라고 한다. class OuterClass { ... class NestedClass { ... }} 여기서 Nested class는 non-static와 static이라는 두 개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는데, Non-static n..

[Java] ForkJoinPool 알아보기

전에 Future랑 CompletableFuture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ForkJoinPool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글에서 Future, FutureTask, CompletableFuture 에 대해 공부를 사알~짝 했었는데 이 내용을 보고 해당 글을 보면 더 이해가 잘 될 것이다. (지난 내용 클릭) 1. Fork? Join? ExecutorSerivce? ForkJoinPool? Java 7에서부터 Fork/Join 프레임워크를 도입했다. 사용 가능한 모든 프로세서 코어를 사용하여 병렬 처리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분할 및 정복 접근 방식을 통해 달성된다. Fork 비동기식으로 실행될 수 있을 만큼 단순해질 때 까지 작업을 더 작은 독립 하위 작..

[Java] 스레드 - Future, FutureTask, ComplatebleFuture?

최근에 스레드에 대해 공부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Future, FutureTask, ComplatableFuture 관련해서 필자가 잘 이해를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를 정리하고자 한다. 1. Future? Oracle에서는 공식 문서에서 future에 대해 다음과 설명하고 있다. Future는 비동기 계산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계산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고, 계산 결과를 검색하는 메서드가 제공됩니다. 결과는 계산이 완료되었을 때 get 메소드를 사용해서만 검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준비될 때까지 차단됩니다. 취소는 cancel 메소드로 수행됩니다.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또는 취소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추가 메서드가 제공됩니다. 계산이 완료되면 계산을 취소할 수 없..

[Java] @annotation을 통한 Response 데이터 변경하기 (feat : jackson)

일반적으로 많은 회사에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정책에 따라서 암호화해서 관리하고 있을 것이다. 이것을 또한 조회 시에 마스킹 처리도 해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던 중에 정보를 정리해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필자는 복잡한 것은 싫으니 최소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아~주 간단하게 보려고 한다. 그럼 후비고오~ 1. Serialize and Deserialize (직렬화와 역직렬화) 우선 다시 직렬화와 역직렬화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려고 한다. 직렬화 객체, 데이터 구조 등의 메모리 내 복잡한 구조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 (예 : JSON, XML, 바이트 스트림 등).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고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

[Java] 불변객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record 사용하기

최근에 스스로 공부를 하면서 java14부터 도입된 record 기능을 사용해 보았는데 그냥 그럭저럭 사용을 해보았다. 문제는 그냥 사용을 하는데 그치는게 아니라 왜 불변 객체가 필요한지 이해를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에 들어본적 있는데 솔직히... 개발자로 계약해서 들어왔는데 코딩 업무 안주는거 뭐냐...? ㅠㅠ... 하여간 이번 기회에 다시 무엇이 문제인지, 왜 필요한지 찾아보고 정리하려고 한다. 참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B%B3%80%EA%B0%9D%EC%B2%B4 https://hackernoon.com/5-benefits-of-immutable-objects-worth-considering-for-your-ne..

[Java] 배열 - Arrays 정리하기 : 2탄 - copyOfRange, equals, fill, deepEquals

지난 글에서 Arrays와 관련된 메서드들을 정리했다. 지난 내용이 궁금하면 여기 클릭! 이번 글에서는 copyOfRange, equals, fill, deepEquals 의 내부 코드를 살펴보고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참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https://www.geeksforgeeks.org/equals-and-deepequals-method-to-compare-two-arrays-in-java/ https://yeh35.github.io/blog.github.io/documents/java/java-assert/ 1. Arrays.copyOfRange 지난 글에서 보았던 copyOf와 왠지 비슷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copyOf //copyOf @HotSpotIntrinsicC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