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72

2. 스프링JPA 공부 / 2021-07-13 (준영속 상태)

준영속 상태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150L); member.setName("AAAAA"); em.detach(member); // 특정 엔티티만 준 영속 상태로 만든다 em.clear(); // 통째로 다 초기화 Member member2 = em.find(Member.class,150L); // 앞에서 초기화해서 다시 조회 쿼리가 나감 em.close(); // 영속성 컨텍스트를 종료 뭐... 이게 아직은 어디에 쓰일지 모르겟다. 나중에 웹 application 개발할 때 자세히 알려 주신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 JPA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는 뭘까? 1.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핑하기 (Object Relational Mapping) 2. 영속성 컨..

Spring 2021.07.13

1. 스프링 공부 / 2021-07-12

이 내용은 inflearn의 김영한 팀장의 spring jpa 강의 과정을 복습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었따. 9강. 플러시 음... 사실 앞에 내용들도 많은데 귀찮아서 정리를 안하다가 머리에 무언가를 남기려면 이렇게 정리를 하면서 해야만 하기 때문에 귀찮음을 꾹 참고 한다 가즈아~~@!!! 그래서 플러시가 뭐임? 영속성 컨텍스트의 내용을 DB에 날려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영속성 컨텍스트는 뭐지? https://velog.io/@neptunes032/JPA-%EC%98%81%EC%86%8D%EC%84%B1-%EC%BB%A8%ED%85%8D%EC%8A%A4%ED%8A%B8%EB%9E%80 JPA 영속성 컨텍스트란? 영속성 컨텐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 엔티티를 저장하거..

Spring 202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