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0

Set이란? HashSet, TreeSet, LinkedHashSet

이번 글의 목적은 Set에 대해 이해하고, HashSet과 TreeSet, LinkedHashSet이 있는데 이 기능은 무엇이 있고, 어느 상황에 사용하면 좋을지 생각해는 것이다. 1. Set이란? 중복이 없는 element들을 저장하는 컬렉션. 더 형식적으로, set은 e1.equals(e2)같은 e1과 e2 의 한 쌍을 가지지 않는다. 이름에 함축되어 있듯이, 이 인터페이스는 수학적인 set abstraction을 모델화한다. 출처 :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java/util/Set.html 또한, set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 그림을 참고하면 좋다. 수학적으로 중복되지 않은 항목들이 모인 것을 set라고 한다. 간단하게 set의 특징에 대해 이야히가..

감시자(Observer) 패턴이란?

1. 감시자 패턴이란? 의도 객체 사이에 일 대 다의 의존 관계를 정의해 두어, 어떤 객체의 상태가 변할 때 그 객체에 의존성을 가진 다른 객체들이그 변화를 통지받고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게 만든다. 즉, 다수의 객체가 특정 객체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알림을 받는 패턴이다. 이것을 이용해 우리는 발행(publish)-구독(subscribe)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 시기 어떤 추상 개념이 두 가지 양상을 갖고 하나가 다른 하나에 종속적일 때, 각 양상을 별도의 객체로 캡슐화하여 이들 각각을 재사용할 수 있다. 한 객체에 가해진 변경으로 다른 객체를 변경해야 하고, 프로그래머들은 얼마나 많은 객체들이 변경되어야 하는지 몰라도 될 때 어떤 객체가 다른 객체에 자신의 변화를 통보할 수 있는데, 그 변화에..

메멘토(Memento) 패턴이란?

1.메멘토 패턴이란? 이 단어를 인터넷에서 검색해봤다. 무언가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것 같다. 짐작이 맞는지 한 번 알아가보자. 의도 캡슐화를 위배하지 않은 채 어떤 객체의 내부 상태를 잡아내고 실체화시켜 둠으로써, 이후 해당 객체가 그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즉, 쉽게 객체의 이전 상태를 저장하는 방법이다. 사용 시기 어떤 객체의 상태에 대한 스냅샷(몇 개의 일부)을 저장한 후 나중에 이 상태로 복구해야 할 때 상태를 얻는 데 필요한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를 두면 그 객체의 구현 세부사항이 드러날 수밖에 없고, 이것으로 객체의 캡슐화가 깨질 때 구조 Memento : 원조본 객체의 내부 상태를 저장 Originator : 원조본 객체. 메멘토를 생성해 현재 객체의 상태를 저장, 메멘토를 사..

중재자(Mediator) 패턴이란?

1. 중재자 패턴이란? 의도 한 집합에 속해잇는 객체의 상호작용을 캡슐화하여 객체를 정의한다. 객체들이 직접 서로를 참조하지 않도록 하여 객체 사이의 소결합을 촉진시키며, 개발자가 객체의 상효작용을 독립적으로 다양화시킬 수 있게 만든다. 즉, 여러 객체들이 소통하는 방법을 캡슐화하는 패턴이다. 사용 시기 여러 객체가 잘 정의된 형태이기는 하지만 복잡한 상호작용을 가질 때. 객체간의 의존성이 구조화되지 않으며 잘 이해하기 어려울 때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너무 많이 참조하고, 너무 많은 의사소통을 수행해서 그 객체를 재사용하기 힘들 때 여러 클래스에 분산된 행동들이 상속 없이 상황에 맞게 수정되어야 할 때 위 상황에서 이 패턴을 사용하면 여러 컴포넌트간의 결합도를 중재자를 통해 낮출 수 있다 구조 Medi..

반복자(Iterator) 패턴이란?

1. 반복자 패턴이란? 의도 내부 표현부를 노출하지 않고 어떤 집합 객체에 속한 원소들을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집합 객체를 순회하는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순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시기 객체 내부 표현 방식을 모르고도 집합 객체의 각 원소들에 접근하고 싶을 때 집합 객체를 순회하는 다양한 방법을 지원하고 싶을 때 서로 다른 집합 객체 구조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순회하고 싶을 때 구조 Iterator : 원소를 접근하고 순회하는 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 ConcreteIterator : Iterator에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 Aggregate : Iterator 객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 ConcreteAggregate : 해당하는..

[Java] Comparable, Comparator, 정렬 방법

필자는 무언가 정렬을 잘 못하는것을 최근 깨달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바에서 정렬을 하는 방법을 학습하려고 한다. 이게 이런게 참 기초이지만 모르는다는것에 부끄러움을 사알짝 느끼면서 오늘도 시자악~ 1. Comparable oracle에서 Comparable에 대한 설명을 가져왔다. 이 인터페이스는 그것을 구현하는 각 클래스의 객체에 total ordering을 수행한다. 이 ordering은 클래스의 natural ordering으로 여기지고, 클래스의 compareTo 메소드는 natural 비교 메소드로 여겨진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객체의 리스트는 자동적으로 Collections.sort(그리고 Arrays.sort)로 정렬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객체는 정렬된 맵에서 키로 이..

해석자(Interpreter) 패턴이란?

1. 해석자(Interpreter) 패턴이란? 의도 어떤 언어에 대해, 그 언어의 문법에 대한 표현을 정의하면서 그것(표현)을 사용하여 해당 언어로 기술된 문장을 해석하는 해석자를 함께 정의 즉, 자주 등장하는 문제를 간단한 언어로 정의하고 재사용하는 패턴. 이를 이용하면 반복되는 문제 패턴을 언어 또는 문법으로 정의하고 확장할 수 있다. 사용 시기 해석이 필요한 언어가 존재하거나 추상 구문 트리로서 그 언어의 문장을 표현하고자 할 때. GoF의 설명에 따르면, 해석자 패턴이 잘 먹힐때는 정의할 언어의 문법이 간단할 때 이다. 구조 AbstrtactExpression : 추상 구문 트리에 속한 모든 노드에 해당하는 클래스들이 공통으로 가져야 할 Interpret() 연산을 추상 연산으로 정의 Termin..

커맨트(Command) 패턴이란?

1. 커맨트(Command) 패턴이란? 의도 요청 자체를 캡슐화하는 것. 이를 통해 요청이 서로 다른 사용자를 매개변수로 만들고,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로딩하며, 되돌릴 수 있는 연상을 지원. 사용 시기 수행할 동작을 객체로 매개변수화하고자 할 때 서로 다른 시간에 요청을 명시하고, 저장하며, 실행하고 싶을 때 실행 취소 기능을 지원하고 싶을 때 시스템이 고장났을 때 재적용이 가능하도록 변경 과정에 대한 로깅을 지원하고 싶을 때 기본적인 연산의 조합으로 만든 상위 수준 연산을 써서 시스템을 구조화하고 싶을 때 구조 Command : 연산 수행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선언 ConcreteCommand : Receiver객체와 액션 간의 연결성을 정의, 처리 객체에 정의된 연산을 호출하도록 Execute를 구현 ..

책임 연쇄(chain of responsibility) 패턴이란?

1. 책임 연쇄(chain of responsibility) 패턴이란? 의도 메시지를 보내는 객체와 이를 받아 처리하는 객체들 간의 결합도를 없애기 위한 패턴. 하나의 요청에 대한 처리가 반드시 한 객체에서만 되지 않고, 여러 객체에게 기회를 주려 한다. 즉, 요청을 보내는 쪽(sender)과 요청을 처리하는 쪽(receiver)의 분리하는 패턴이다. 사용 시기 하나 이상의 객체가 요청을 처리해야 하고, 그 요청 처리자 중 어떤 것이 선행자인지 모를 때, 처리자가 자동으로 확정되어야 한다. 메시지를 받을 객체를 명시하지 않을 채 여러 객체 중 하나에게 처리를 요청하고 싶을 때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객체 집합이 동적으로 정의되어야 할 때 구조 Handler : 요청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후속..

프록시(Proxy) 패턴이란?

1. 프록시 패턴이란? 의도 다른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핸 대리자 또는 자리채움자 역할을 하는 객체를 다룬다. 즉, 특정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거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패턴이다 proxy를 통해 할 수 있는 일은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접근제어 권한에 따른 접근 차단 캐싱 지연로딩 부가 기능 추가 원래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에 더해 부가 기능 수행( 중간에서 변형! 혹은 로그 작동도 가능 ) 즉, 프록시 객체가 중간에 있으면 크게 접근 제어와 부가 기능 추가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 시기 프록시 패턴은 단순한 포인터보다 조금 더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거나 정교한 객체 참조자가 필요한 때 적용할 수 있다. 원격지 프록시 : 서로 다른 주소 공간에 존재하는 객체를 가리키는 대표 객체 가상..